복부 초음파


복부초음파

복부 초음파검사는 상복부 초음파검사와 충수 초음파검사 등이 흔하게 시행되고 있습니다. 상복부 초음파검사가 가장 일반적인 초음파검사라고 할 수 있으며 간, 담낭, 담관, 췌장 등이 주로 검사 대상이 되는 장기이나 비장과 신장까지 포함한 상복부 장기들을 검사합니다. 충수 초음파검사는 오른쪽 아랫배 통증으로 충수염이 의심될 때 검사합니다.


복부초음파 목적

  • 상복부 통증 혹은 지속적인 소화 불량 
  • 우측 혹은 좌측 갈비뼈 아래에서 간 혹은 비장이 크게 촉진될 때 
  • 간 기능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있을 때 
  • 혈액 검사에서 간암 수치나 췌장암 수치가 상승했을 때 
  • 간염, 간경변증, 지방간 환자들의 정기적인 추적 검사 
  • 양성 간 종양, 담낭 용종, 양성 췌장 종양 등의 정기적인 추적 검사 
  • 그 외에 건강 검진을 위해

상복부 초음파검사를 통해 지방간,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암, 혈관종, 낭종, 담관 확장, 담낭 결석, 담관 용종, 담도암, 췌장염, 췌장암 등의 가능성을 제시하거나 진단 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검사에서 가능성이 제시된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서 CT나 MRI 등의 추가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초음파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간종양, 간실질, 췌장종양 등에 대해 조직검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또 초음파 유도 하에 작은 간암에 대해 고주파열치료 같은 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충수 초음파검사는 오른쪽 아랫배 통증으로 충수염이 의심될 때 시행하게 됩니다. 초음파검사를 하여 대부분 충수돌기염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내 공기가 많거나 뚱뚱한 환자의 경우에 진단이 애매한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CT를 시행하여 충수염을 진단하게 됩니다. 


하복부 초음파(신장, 요관, 방광)

신장 초음파검사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 시행하게 됩니다. 

  • 옆구리나 등 뒤의 통증 
  • 소변검사상 혈뇨, 단백뇨, 농뇨 등의 이상 소견 
  • 원인을 알 수 없는 발열

초음파검사를 통해 신장낭종이나 신장암 등의 신장 종양, 신우신염, 신부전, 신장 및 요로결석, 수신증, 신장기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장 종양이 발견되면 CT나 MRI 등 추가 검사를 하기도 하고, 반대로 이 검사들에서 충분히 얻지 못한 정보를 얻기 위해 초음파검사를 나중에 추가하기도 합니다. 신우신염은 진단과 함께 농양이 있을 경우 초음파 유도 하에 배액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음파검사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 신장동맥의 협착에 의한 신동맥성 고혈압의 진단에는 도플러 초음파검사가 유용한 검사입니다.

전립선 초음파검사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 시행하게 됩니다.

  • 소변을 보기가 힘들거나 너무 자주 볼 때 
  • 소변을 볼 때 아프거나 끝이 시원하지 않을 때 
  • 정액에 피가 섞인 경우 남성 불임 

초음파검사를 통해 전립선의 크기를 측정하여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그림 2), 전립선염 등의 질환을 진단하고, 직장 수지 검사 및 전립선특이항원(PSA) 수치 이상을 확인하며, 혈정액증과 남성 불임의 원인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영상은 실시간 영상이기 때문에, 전립선암을 의심하는 환자에서 세침조직검사를 시행할 때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음낭 초음파검사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때 시행됩니다. 

  • 고환이 아프거나 부을 때 
  • 고환이 만져지지 않을 때 
  • 음낭에 덩어리가 만져질 때 
  • 음낭 주위에 외상을 입었을 때

초음파검사를 통해 음낭의 염증이나 고환염전(꼬임), 잠복고환, 고환종양, 정맥류 등의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음낭 통증이 있을 때 부고환염과 고환염전을 감별해야 합니다. 부고환염은 항생제로 치료하면 잘 반응하나, 고환염전은 수술적으로 염전을 풀어주어야 합니다. 이 두 질환의 감별에 초음파검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지요. 또 고환염전의 진단이 늦어지면 고환 기능 장애가 올 수 있으므로 빠른 진단이 필요합니다. 잠복고환은 흔히 신생아에서 볼 수 있으며, 늦은 나이까지 잠복고환이 지속되면 악성 종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합니다. 고환종양은 악성 종양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고, 혈관이 늘어나 있는 정맥류도 도플러 초음파검사를 통해서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음낭 주위의 수종이나 탈장 등도 진단합니다. 


주의사항

초음파검사를 받기에 편안하고, 꽉 끼지 않는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여성은 원피스보다 투피스를 입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에 따라 옷을 벗고, 검사용 가운으로 갈아 입고 시행하기도 합니다. 

상복부 초음파검사는 6시간 이상의 금식이 필요합니다. 금식이 필요한 이유는 음식을 먹으면 위장이 팽창하여 췌장 등이 가리게 되므로 부정확한 초음파검사가 될 수 있습니다. 담배나 껌도 위장 내 공기를 채우게 하므로 삼가해야 합니다. 지방 성분의 음식은 담낭을 수축 시켜서 담낭을 검사하는데 제약이 있습니다. 오히려 평소에 복용하는 고혈압이나 당뇨병 약 등은 적은 양의 물과 함께 복용할 수 있습니다.


복부초음파 장비

상복부 초음파검사용 탐촉자는 앞이 둥근 볼록형 탐촉자를 주로 사용하고, 충수 초음파검사는 직선 형태의 탐촉자를 사용하게 됩니다. 

복부초음파 검사

상복부 초음파검사는 환자가 천정을 보고 똑바로 누워있는 상태에서 시작합니다. 검사 중에 조금씩 움직이거나 엎드리거나 반쯤 일어나 앉을 수도 있습니다. 


탐촉자와 신체에 초음파 젤리를 바른 후에 검사를 시작합니다. 이 젤리는 탐촉자와 피부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여 탐촉자와 피부가 밀착되게 하고 잘 미끄러지게 하는 필수적인 재료입니다. 젤리는 인체에 전혀 무해하고, 대부분의 경우 옷에 묻어도 쉽게 세탁됩니다. 그 다음 검사자가 탐촉자를 눌러서 피부와 완전히 밀착시킨 검사 부위를 문지르면서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상복부 장기들이 잘 보이게 하기 위해 검사자들이 숨을 들여마시거나 배를 불리도록 요구하게 되는데, 이렇게 하면 횡격막이 아래로 내려오기 때문에 횡격막 아래에 있는 간이 늑골 아래로 내려 와서 간이 잘 보이기 때문입니다. 충수돌기 검사는 오른쪽 아랫배에 가장 아픈 곳을 직선 형태의 탐촉자를 이용하여 누르면서 시행하게 됩니다. 도플러 초음파검사도 같은 탐촉자를 이용해서 시행하게 됩니다. 검사가 끝나면 병원에 따라서 검사결과를 바로 알려 주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검사를 의뢰한 해당과 외래에서 결과를 확인하게 됩니다.

소요 시간은  큰 이상 소견이 없는 상복부 초음파검사는 10분 이내에 검사를 끝날 수 있지만 복잡한 상복부 초음파 검사나 충수 초음파검사의 경우에는 소요 시간이 훨씬 길어지기도 합니다.


상복부 초음파검사가 가장 일반적인 초음파검사인 만큼 편안하고 빠르게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쉬운 검사입니다. 도플러 초음파검사 중에는 혈류 측정을 할 때 '슉-슉-'하는 소리가 날 수도 있습니다. 검사가 끝나면 젤리를 닦고, 이후에는 바로 일상 생활을 하실 수 있습니다. 

복부초음파 결과

일반적으로 초음파검사는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으나, 초음파 영상을 평가하기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상복부 초음파검사의 경우에 상복부 장기의 해부이나 질환의 초음파 소견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있어야 하며, 상복부 검사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인공물과 함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CT나 MRI와 달리 결과를 실시간으로 판단해야 하는 검사이므로 검사를 시행하는 사람의 능력에 따라 그 신뢰도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검사자에게 매우 의존적이고, 검사 전에 여러 임상정보를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른 영상 검사와 마찬가지로 복부 초음파검사도 다른 임상적인 정보와 종합하여야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복부초음파 검사 장점

복부 초음파검사도 일반적인 초음파검사에서 기술된 장점, 위험성, 한계 등과 차이가 없습니다. 

상호:김영태신경외과의원   |   대표:김영태   |   대표번호:043-258-0174   

원무과:FAX 043-225-5002   |   간호실:FAX 043-225-5003

당직:010-8358-0173, 010-7704-0173   |   사회복지사:010-7687-0173   |   재택간호사:010-7697-0173

 

Copyright ⓒ 2024 김영태신경외과 All rights reserved.